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는 1977년 창단된 여자 배구단으로, 실업 시절 슈퍼리그에서 10번 우승하며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했다.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2010-11, 2015-16, 2023-24 시즌에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했다. KOVO컵에서도 5회 우승을 기록했다. 현재는 강성형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으며, 수원실내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부산 KCC 이지스
    부산 KCC 이지스는 1978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3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부산 사직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 IBK기업은행 알토스
    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창단되어 경기도 화성시를 연고지로 하는 V리그 여자 프로배구 팀으로, V리그 3회 우승 및 KOVO컵 3회 우승 등 국내 최정상급 성적을 거두었으며 김희진, 이효희, 박정아 등 유명 선수들이 활약했고 김사니 선수의 등번호 9번이 V리그 여자부 최초로 영구 결번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1971년 태광산업 배구팀을 모체로 창단되어 흥국생명보험 소속으로 운영되는 여자 배구단이며,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고 V-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여자 배구계의 강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수원시의 스포츠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IMF 외환 위기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2001년 개장하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수원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과 '빅버드 폭포' 현상으로 유명하다.
  • 수원시의 스포츠 - 수원KT소닉붐아레나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로고
클럽명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별칭(정보 없음)
전체 명칭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배구단
창단1977년
해체(정보 없음)
연고지수원시
홈 경기장수원실내체육관
수용 인원5,145명
구단주정수현
감독강성형
주장김연견
리그V-리그
웹사이트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공식 웹사이트
시즌 정보
2023-24 시즌정규 시즌: 1위
포스트시즌: 우승

2. 역사

1977년 현대건설 배구단이 창단되어,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리그에 참가했다.

프로 출범 이후, 2006-07 시즌 V-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0-11 시즌, 2015-16 시즌, 그리고 2023-24 시즌에 V-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15-16 시즌 챔피언십 MVP는 팀의 주장 양효진에게 수여되었다.[1] KOVO컵에서는 2006년, 2014년, 2019년, 2021년, 2024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프로 출범 이전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는 10회 우승과 4회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2. 1. 창단 초기 (1977년 ~ 2005년)

1977년 현대건설 배구단이 창단되었다.

창단 이후, 실업 배구 시절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슈퍼리그에서 통산 10회 우승(1985, 1986, 1987, 1988, 1990, 2000, 2001, 2002, 2003, 2004)과 4회 준우승(1984, 1991, 1993, 1999)을 기록하였다.

구분횟수연도
우승10회1985, 1986, 1987, 1988, 1990, 2000, 2001, 2002, 2003, 2004
준우승4회1984, 1991, 1993, 1999


2. 2. 프로 출범 이후 (2005년 ~ 현재)

1977년 창단된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는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리그에 참가했다.

프로 출범 이후, 현대건설은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6-07 시즌 V-리그 준우승을 시작으로, 2010-11 시즌에는 황현주 감독의 지휘 아래 V-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1] 2015-16 시즌에는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당시 팀의 주장이었던 양효진이 챔피언십 MVP를 수상했다.[1] 2023-24 시즌 2023-24 V-리그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KOVO컵에서는 2006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14년, 2019년, 2021년, 2024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5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다음은 V-리그 및 KOVO컵 프로 출범 이후의 시즌별 성적이다.

리그시즌순위경기승리패배승점포스트시즌
V-리그2005316106-플레이오프
2005-064281414-진출 실패
2006-073241311-준우승
2007-08528424-진출 실패
2008-094281018-진출 실패
2009-10128235-준우승
2010-11124204-우승
2011-12330151543준우승
2012-13330161450플레이오프
2013-14530121838진출 실패
2014-15330191156플레이오프
2015-16230171353우승
2016-17430141641진출 실패
2017-18330141646플레이오프
2018-1953092129진출 실패
2019-2012720755취소
2020-21630111934진출 실패
2021-2213128382취소
2022-23236241270플레이오프
2023-24136261080우승
KOVO컵2006-우승
KOVO컵2009-준우승
KOVO컵2013-준우승
KOVO컵2014-우승
KOVO컵2015-준우승
KOVO컵2019-우승
KOVO컵2021-우승
KOVO컵2024-우승


3. 역대 시즌

챔피언결정전 패배 (1–3, 흥국생명)2007-08284240.143—5위—2008-092810180.357—4위—2009-10282350.821—1위챔피언결정전 패배 (2–4, KT&G)2010-11242040.833—1위챔피언결정전 승리 (4–2, 흥국생명)2011-123015150.500433위플레이오프 승리 (2–0, 한국도로공사)
챔피언결정전 패배 (2–3, KGC인삼공사)2012-133016140.533503위플레이오프 패배 (0–2, GS칼텍스)2013-143012180.400385위—2014-153019110.633563위플레이오프 패배 (0–2, IBK기업은행)2015-163017130.567532위플레이오프 승리 (2–0, 흥국생명)
챔피언결정전 승리 (3–0, IBK기업은행)2016-173014160.467414위—2017-183014160.467463위플레이오프 패배 (1–2, IBK기업은행)2018-19309210.300295위—2019-20272070.741551위시즌 조기 종료2020-213011190.367346위—2021-22312830.903821위시즌 조기 종료2022-233624120.667702위플레이오프 패배 (0–2, 한국도로공사)2023-243626100.722801위챔피언결정전 승리


3. 1. 정규리그

시즌경기수승률승점순위
2005161060.625263위
2005-062814140.500144위
2006-072413110.542-3위
2007-08284240.143-5위
2008-092810180.357-4위
2009-10282350.821-1위
2010-11242040.833-1위
2011-123015150.500433위
2012-133016140.533503위
2013-143012180.400385위
2014-153019110.633563위
2015-163017130.567532위
2016-173014160.467414위
2017-183014160.467463위
2018-19309210.300295위
2019-20272070.741551위
2020-213011190.367346위
2021-22312830.903821위
2022-233624120.667702위
2023-243626100.722801위


3. 2. 포스트시즌

챔피언결정전 패배 (1–3, 흥국생명)2007-08진출 실패2008-09진출 실패2009-10챔피언결정전 패배 (2–4, KT&G)2010-11챔피언결정전 승리 (4–2, 흥국생명)2011-12플레이오프 승리 (2–0, 한국도로공사)
챔피언결정전 패배 (2–3, KGC인삼공사)2012-13플레이오프 패배 (0–2, GS칼텍스)2013-14진출 실패2014-15플레이오프 패배 (0–2, IBK기업은행)2015-16플레이오프 승리 (2–0, 흥국생명)
챔피언결정전 승리 (3–0, IBK기업은행)2016-17진출 실패2017-18플레이오프 패배 (1–2, IBK기업은행)2018-19진출 실패2019-20시즌 조기 종료2020-21진출 실패2021-22시즌 조기 종료2022-23플레이오프 패배 (0–2, 한국도로공사)2023-24챔피언결정전 승리


4. 우승 경력

대회-- 우승-- 준우승
한국배구 슈퍼리그10회4회
V-리그3회3회
KOVO컵5회3회


4. 1. 리그

4. 2. 컵

5. 선수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에는 여러 선수들이 활약했다. 주요 선수로는 강혜미, 구민정, 장소연, 한유미, 김수지, 한수지, 김세영, 양효진, 정대영, 염혜선, 박경낭, 윤혜숙, 황연주, 고유민 등이 있다. 외국인 선수로는 산야 토마세비치(세르비아), 티파니 도즈(캐나다), 아우레아 크루스(푸에르토리코),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세르비아), 모레노 피노 케니(콜롬비아), 옐리즈 바샤(튀르키예), 야나 마티아소프스카 아가예바(아제르바이잔), 폴리나 라히모바(아제르바이잔), 헤일리 스펠만(미국), 밀라그로스 칼라(스페인), 엘렌 루소(벨기에) 등이 있다.[1]

5. 1. 현재 선수 명단

2023-24영어 시즌 Hyundai E&C Hillstate영어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이름포지션생년월일신장(cm)국적
1정시영센터180cm
2황윤성레프트175cm
3김다인세터171cm
4황연주라이트177cm
5이영주리베로161cm
6이나연세터173cm
8김연견리베로163cm
9김현지세터175cm
10야스민라이트193cm
11김주하리베로174cm
12이다현센터185cm
13정지윤센터180cm
14양효진센터190cm
15황민경레프트174cm
16김가영레프트172cm
17고예림레프트177cm
18한미르리베로166cm
19이현지레프트179cm
20전하리레프트172cm



감독은 강성형 감독이다.

5. 2. 역대 주요 선수

이름포지션국적비고
브란키차2011-2012
에밀리2016-2017
엘리자베스2017-2018
소냐2018
베키 페리2018
마야2018-2019
헤일리2019-2020
루소2020-2021
야스민2021-
강혜미
구민정
장소연
한유미
김수지
한수지
김세영
양효진
정대영
염혜선
박경낭
산야 토마세비치
티파니 도즈
아우레아 크루스
모레노 피노 케니
옐리즈 바샤
야나 마티아소프스카 아가예바
폴리나 라히모바
밀라그로스 칼라
윤혜숙
황연주
고유민


6. 감독

현대건설 힐스테이트의 역대 감독으로는 김효명, 이성수, 김남성, 류화석[1], 홍성진, 황현주, 양철호, 이도희, 강성형 감독이 있다.

6. 1. 역대 감독

(승–패)승률플레이오프 전적
(승–패)플레이오프
승률플레이오프 진출정규리그 우승챔피언결정전 우승-1996년김효명1996년–1998년이성수1998년–1999년김남성1999년–2006년류화석[1]24–200.5450–20.0001002006년–2009년홍성진27–530.3383–30.5001002009년–2014년황현주86–560.60610–110.4764212014년–2017년양철호50–400.5565–20.7142012017년–2021년이도희54–630.4671–20.3331002021년–강성형0–00.0000.000000비고: [1] 전적 및 승률은 2005년 V-리그 출범 이후 기록.


7. 홈구장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마산실내체육관을, 2006년부터 현재까지 수원실내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yundai E&C volleyball team crowned champion in five years https://news.hyundai[...] 2016-04-06
[2] 웹인용 현대 여자배구 창단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7-01-20
[3] 뉴스 현대건설 배구단, 구단 명칭 '힐스테이트'로 변경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9-09-24
[4] 뉴스 두 번이나 ‘팽’ 당한 배구계의 ‘한신’…황현주 감독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10
[5] 뉴스 '통합 우승' 오랜만에 웃은 현대건설 황현주 감독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1-04-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