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는 1977년 창단된 여자 배구단으로, 실업 시절 슈퍼리그에서 10번 우승하며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했다.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2010-11, 2015-16, 2023-24 시즌에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했다. KOVO컵에서도 5회 우승을 기록했다. 현재는 강성형 감독이 팀을 이끌고 있으며, 수원실내체육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1977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부산 KCC 이지스
부산 KCC 이지스는 1978년 창단된 프로 농구단으로, 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6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3년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부산 사직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 IBK기업은행 알토스
IBK기업은행 알토스는 2011년 창단되어 경기도 화성시를 연고지로 하는 V리그 여자 프로배구 팀으로, V리그 3회 우승 및 KOVO컵 3회 우승 등 국내 최정상급 성적을 거두었으며 김희진, 이효희, 박정아 등 유명 선수들이 활약했고 김사니 선수의 등번호 9번이 V리그 여자부 최초로 영구 결번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단 -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는 1971년 태광산업 배구팀을 모체로 창단되어 흥국생명보험 소속으로 운영되는 여자 배구단이며,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고 V-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며 여자 배구계의 강팀으로 활동하고 있다. - 수원시의 스포츠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고, IMF 외환 위기로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나 2001년 개장하여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과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으며, 수원 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한 독특한 디자인과 '빅버드 폭포' 현상으로 유명하다. - 수원시의 스포츠 - 수원KT소닉붐아레나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클럽명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별칭 | (정보 없음) |
전체 명칭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배구단 |
창단 | 1977년 |
해체 | (정보 없음) |
연고지 | 수원시 |
홈 경기장 | 수원실내체육관 |
수용 인원 | 5,145명 |
구단주 | 정수현 |
감독 | 강성형 |
주장 | 김연견 |
리그 | V-리그 |
웹사이트 |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공식 웹사이트 |
시즌 정보 | |
2023-24 시즌 | 정규 시즌: 1위 포스트시즌: 우승 |
2. 역사
1977년 현대건설 배구단이 창단되어,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리그에 참가했다.
프로 출범 이후, 2006-07 시즌 V-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2010-11 시즌, 2015-16 시즌, 그리고 2023-24 시즌에 V-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2015-16 시즌 챔피언십 MVP는 팀의 주장 양효진에게 수여되었다.[1] KOVO컵에서는 2006년, 2014년, 2019년, 2021년, 2024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프로 출범 이전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는 10회 우승과 4회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2. 1. 창단 초기 (1977년 ~ 2005년)
1977년 현대건설 배구단이 창단되었다.창단 이후, 실업 배구 시절 '''한국 배구 슈퍼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슈퍼리그에서 통산 10회 우승(1985, 1986, 1987, 1988, 1990, 2000, 2001, 2002, 2003, 2004)과 4회 준우승(1984, 1991, 1993, 1999)을 기록하였다.
구분 | 횟수 | 연도 |
---|---|---|
우승 | 10회 | 1985, 1986, 1987, 1988, 1990, 2000, 2001, 2002, 2003, 2004 |
준우승 | 4회 | 1984, 1991, 1993, 1999 |
2. 2. 프로 출범 이후 (2005년 ~ 현재)
1977년 창단된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는 2005년 V-리그 출범과 함께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리그에 참가했다.프로 출범 이후, 현대건설은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6-07 시즌 V-리그 준우승을 시작으로, 2010-11 시즌에는 황현주 감독의 지휘 아래 V-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1] 2015-16 시즌에는 화성 IBK 기업은행 알토스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당시 팀의 주장이었던 양효진이 챔피언십 MVP를 수상했다.[1] 2023-24 시즌 2023-24 V-리그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KOVO컵에서는 2006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2014년, 2019년, 2021년, 2024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5번의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다음은 V-리그 및 KOVO컵 프로 출범 이후의 시즌별 성적이다.
리그 | 시즌 | 순위 | 경기 | 승리 | 패배 | 승점 | 포스트시즌 |
---|---|---|---|---|---|---|---|
V-리그 | 2005 | 3 | 16 | 10 | 6 | - | 플레이오프 |
2005-06 | 4 | 28 | 14 | 14 | - | 진출 실패 | |
2006-07 | 3 | 24 | 13 | 11 | - | 준우승 | |
2007-08 | 5 | 28 | 4 | 24 | - | 진출 실패 | |
2008-09 | 4 | 28 | 10 | 18 | - | 진출 실패 | |
2009-10 | 1 | 28 | 23 | 5 | - | 준우승 | |
2010-11 | 1 | 24 | 20 | 4 | - | 우승 | |
2011-12 | 3 | 30 | 15 | 15 | 43 | 준우승 | |
2012-13 | 3 | 30 | 16 | 14 | 50 | 플레이오프 | |
2013-14 | 5 | 30 | 12 | 18 | 38 | 진출 실패 | |
2014-15 | 3 | 30 | 19 | 11 | 56 | 플레이오프 | |
2015-16 | 2 | 30 | 17 | 13 | 53 | 우승 | |
2016-17 | 4 | 30 | 14 | 16 | 41 | 진출 실패 | |
2017-18 | 3 | 30 | 14 | 16 | 46 | 플레이오프 | |
2018-19 | 5 | 30 | 9 | 21 | 29 | 진출 실패 | |
2019-20 | 1 | 27 | 20 | 7 | 55 | 취소 | |
2020-21 | 6 | 30 | 11 | 19 | 34 | 진출 실패 | |
2021-22 | 1 | 31 | 28 | 3 | 82 | 취소 | |
2022-23 | 2 | 36 | 24 | 12 | 70 | 플레이오프 | |
2023-24 | 1 | 36 | 26 | 10 | 80 | 우승 | |
KOVO컵 | 2006 | - | 우승 | ||||
KOVO컵 | 2009 | - | 준우승 | ||||
KOVO컵 | 2013 | - | 준우승 | ||||
KOVO컵 | 2014 | - | 우승 | ||||
KOVO컵 | 2015 | - | 준우승 | ||||
KOVO컵 | 2019 | - | 우승 | ||||
KOVO컵 | 2021 | - | 우승 | ||||
KOVO컵 | 2024 | - | 우승 |
챔피언결정전 패배 (1–3, 흥국생명)
3. 역대 시즌
2007-08 28 4 24 0.143 — 5위 — 2008-09 28 10 18 0.357 — 4위 — 2009-10 28 23 5 0.821 — 1위 챔피언결정전 패배 (2–4, KT&G) 2010-11 24 20 4 0.833 — 1위 챔피언결정전 승리 (4–2, 흥국생명) 2011-12 30 15 15 0.500 43 3위 플레이오프 승리 (2–0, 한국도로공사)
챔피언결정전 패배 (2–3, KGC인삼공사)2012-13 30 16 14 0.533 50 3위 플레이오프 패배 (0–2, GS칼텍스) 2013-14 30 12 18 0.400 38 5위 — 2014-15 30 19 11 0.633 56 3위 플레이오프 패배 (0–2, IBK기업은행) 2015-16 30 17 13 0.567 53 2위 플레이오프 승리 (2–0, 흥국생명)
챔피언결정전 승리 (3–0, IBK기업은행)2016-17 30 14 16 0.467 41 4위 — 2017-18 30 14 16 0.467 46 3위 플레이오프 패배 (1–2, IBK기업은행) 2018-19 30 9 21 0.300 29 5위 — 2019-20 27 20 7 0.741 55 1위 시즌 조기 종료 2020-21 30 11 19 0.367 34 6위 — 2021-22 31 28 3 0.903 82 1위 시즌 조기 종료 2022-23 36 24 12 0.667 70 2위 플레이오프 패배 (0–2, 한국도로공사) 2023-24 36 26 10 0.722 80 1위 챔피언결정전 승리